공정안전기술원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.
1 이행상태 평가 종류 및 시기
종 류 |
시 기 |
신규평가 |
보고서 심사 및 확인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2년 이내 |
정기평가 |
신규평가 후 4년마다
|
재평가 |
평가일부터 1년이 경과한 사업장에서 구분에 따른 시기 |
|
|
|
2 이행상태 평가 방법
구 분 |
내 용 |
안전경영과 근로자 참여면담 |
공장장, 부장/과장(관리감독자), 조장/반장, 현장작업자,
정비보수 작업자(도급업체 직원포함), 도급업체 작업자, 안전관리자 |
보고서 및 이행실적 |
공정안전자료(7개항목), 공정위험성평가(13개항목), 안전운전지침과 절차(8개항목),
설비의 점검·검사·보수 계획 및 지침(12개항목), 안전작업허가 및 절차(8개항목),
도급업체안전관리(10개항목), 공정안전에 관한 교육·훈련(7개항목),
가동전 점검 지침(6개항목), 공정사고조사 지침(9개항목),
변경요소관리 계획(7개항목), 자체감사(9개항목), 비상조치계획(8개항목)
|
현장 |
보고서와 현장 일치, 안전밸브 및 가스누출감지기 관리상태, 폭발위험장소 구분 등 |
3 평가결과 등급부여 기준
등 급 |
점수 총합 |
P등급(우수) |
90점 이상 |
S등급(양호) |
80점 이상 90점 미만
|
M+(보통) |
70점 이상 80점 미만 |
M-(불량) |
70점 미만 |
4 등급별 관리기준
구 분 |
일반기준 |
위험물 단순 저장 설비 보유 |
P등급(우수) |
등급부여 후 1회 / 4년 점검 |
S등급(양호) |
등급부여 후 1회 / 2년 점검
|
M+(보통) |
등급부여 후 1회 / 2년 점검 및 1회/2년 기술지도(기술지원팀) |
등급부여 후 1회 / 2년 점검 |
M-(불량) |
등급부여 후 3회 / 4년 점검 및 1회/2년 기술지도(기술지원팀) |
등급부여 후 1회 / 2년 점검 및 1회/4년 기술지도(기술지원팀) |
5 컨설팅 내용
1 고용노동부에서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PSM 등급심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전 평가를 수행하여
(자체감사 연계) PSM 이행능력 향상
2 법적 기준 미흡사항 도출 및 개선방법을 제시하여 공정안전문화 정착